BBUWOO'S [ LIKE UNIX ] WORLD Home > Lecture > Bind > Bind-14  

HOME
WHAT's BBUWOO?
LInux AnNyung
Open Source
    GitHUB
    GitHUB (for PHP)
LECTURE
MINI LECTURE
QnA BOARD
ENGLISH POEM


WARNNING

강좌의 모든 권리는 본인 김정균에게 있으며 이 강좌를 상업적 목적 으로 이용
하거나 다른 곳으로 옮길시에는 본인의 허락이 있어야 한다. 이글의 가장 최신글은
http://oops.org 에서 확인할수 있다.



13. Bind Refresh



 Hanterm

 [root@bbuwoo named]$ ps ax | grep named           

    224   ?  S    0:12 named
    4444  p0 S    0:00 grep named

 [root@bbuwoo named]# cat /var/run/named.pid

  224

 [root@bbuwoo named]# kill -HUP 224 <- HUP는 꼭 대문자여야 한다.  
 [root@bbuwoo named]#



위의 경우는 bind process가 작동중일 경우 설정값을 재적용 시키는 경우이며 처음 시작하는 경우를 보겠다. 보통은 ndc 명령을 사용하여 bind를 동작 시킨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9.x 대 부터는 이 ndc가 없어지고 rndc 가 포함이 되어 있으며, rndc는 ndc의 사용법과 또 틀리다. 그래서 여기서는 named 라는 binary 를 이용하여 named를 시작하는 법을 보도록 한다.


 Hanterm

 [root@bbuwoo named]$ /usr/sbin/named -u named
 [root@bbuwoo named]#



위의 -u option은 8.2 부터 추가되어진 옵션으로 named를 named 라는 유저의 권한으로 실행을 하라는 의미이다. bind의 process가 root의 권한으로 작동을 하고 있다 보니 bof와 같은 공격에 너무나 취약하게 root의 권한을 빼앗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위의 옵션이 추가 되었다.

여기서 강조하고픈 바는 9.x에서의 변화이다. 즉 8.2.3 까지는 위와 같이 named를 시작하면 되지만 9.x 부터는 kernel의 버젼이 2.33.99pre2 이상일 경우에만 -u 옵션을 사용을 할수 있다는 것을 명심을 하도록 한다. 즉 kernel 2.4 이하 버젼인 사람들은 8.2.3 을 사용하라는 의미이다.



14. nslookup 사용법

설정이 제대로 되었나 확인 하는 방법으로는 nslookup을 이용할수가 있다. name server의 설정을 가장 확실하게 알수 있는 방법일 것이다. 설정의 확인은 간단하게 "nslookup '설정한 domain name'"의 형식으로 몇개를 찾아 보면 쉽게 알수 있을 것이고 여기서는 간단하게 nslookup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알아 보도록 하겠다.

nslookup oops.kr.net

가장 기본적인 사용법이다. 저 도메인명의 IP 주소를 찾는 것이다. 또는 저기에 IP 주소를 넣는다면 해당하는 도메인명을 불러 줄것이다. 이게는 그냥 nslookup 만으로 실행 해보자.



 Hanterm

 [root@bbuwoo named]$ nslookup                                   

  Default Server:  oops.kr.net
  Address:  210.24.154.2

  >

이렇게 프롬프트가 뜰것이다. 기본적인 사용법은 help 를 치면 나오게 된다. 여기서 다양한 방법으로 질문을 할수가 있다. querytype 을 정해 줄수 있는데 그 도메인의 네임 서버를 알고 싶다면 이런식으로 할수 있을것이다.



 Hanterm

 [root@bbuwoo named]$ nslookup                                   

  Default Server:  oops.kr.net
  Address:  210.24.154.2

  > set q=ns
  > oops.kr.net
  oops.kr.net    nameserver = ns.oops.kr.net
  ns.oops.kr.net internet address = 210.24.154.2

아주 간단하다. qwerytype 은 몇가지 종류가 있는데 help 를 보면 알수 있다. 아 그리고 set q=any 는 모든 사항에 대한 정보를 보는것이다. 그외에 간단한 명령으로 ls, domain 등이 있는데 살짝만 알아 보자.



 Hanterm

 [root@bbuwoo named]$ nslookup                                   

  Default Server:  oops.kr.net
  Address:  210.24.154.2

  > server ns.oops.kr.net
  Default Server:  ns.oops.kr.net
  Address:  210.24.154.2

  > ls oops.kr.net
  [oops.kr.net]
   oops.kr.net.                   server = ns.oops.kr.net
   oops.kr.net.                   210.124.24.132
   localhost                      127.0.0.1
   babo                           210.124.24.156
   ns                             210.124.24.132

이런식으로 그 네임 서버에 등록된 모든 호스트명을 보여주게 된다. 단 이 명령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도메인을 관리하는 네임 서버를 디폴트 서버로 사용해야 한다. 역시 이 명령도 qwerytype 을 지정할수 있다.



 Hanterm

 [root@bbuwoo named]$ nslookup                                   

  Default Server:  oops.kr.net
  Address:  210.24.154.2

  > server ns.oops.kr.net
  Default Server:  ns.oops.kr.net
  Address:  210.24.154.2

  > ls -t ns oops.kr.net
  [ns.oops.kr.net]
   oops.kr.net.                  server = ns.oops.kr.net

ls -t any 를 사용하면 그 서버에 저장된 모든 호스트들에 대한 정보를 보여 줄 것이다. 단 이전에 설명 했듯이 이 정보를 가져가는것을 막을수 있다. named.boot 의 설명 부분을 보기 바란다.



15. Name Server Error Debugging

많은 사람들이 name server 설정에 대한 자세한 이해 없이 설정만 하고선 안된다는 질문이 많아서 이런 글을 추가한다. Name Server 의 설정이 제대로 되었는지, 또는 적용이 안되는 경우는 2가지의 이유가 있다. 보통 설정 자체의 에러가 있거나 또는 DNS 이전 또는 primary name server의 변경 등의 이유가 있으며 가끔 외부의 network 상의 문제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마비가 되는 경우가 있다. 보통 첫번째 문제 즉, 설정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면 시간이 해결해 주기를 바라는수 밖에 없다.

일단 debugging 을 하는 첫번째 방법으로는 내 설정에 문제가 있는지 부터 확인을 한다. 즉 디버깅의 순서는 보통 내부에서 문제를 찾아보고 없으면 외부의 방향으로 나가는 것이 관례이다.

일단 창을 2개를 이용을 하도록 한다. 창을 2개를 띄어 놓고선 하나의 창에는 tail -f /var/log/message 를 실행하도록 한다. tail 은 file 의 제일 마지막 몇줄을 보여 주는 것으로 -f 옵션을 사용하면 추가되는 기록을 계속 볼수가 있다. 그리고 다른 한창에서는 named 를 재시작 하도록 한다. 그러면 named 가 시작 되면서 named.conf 와 zone file 들을 읽어 올 것이며 여기서 에러가 발생할 경우 tail -f /var/log/message 에서 에러에 대한 문구를 볼수 있을 것이다. 보통 message file 에는 어느 파일 몇번째 줄에서 에러가 있다고 명확하게 보여 주므로 해당 라인에 문법적 에러가 있는지 강좌 같은 것을 자세히 보면서 수정을 해 보면 된다.

일단 다른 한 창에서 named 를 재시작 하면 tail -f 를 실행한 창에서는 아래와 같은 로그들이 나타날 것이다.



 Hanterm - tail -f /var/log/message

 [root@bbuwoo named]$ tail -f /var/log/message                                   

  Feb 25 18:57:11 oops named[431]: named shutting down

  named 를 내릴 준비를 시작한다.

  Feb 25 18:57:11 oops named[431]: USAGE 983095031 982820410 CPU=10.05u/5.43s
                                   CHILDCPU=0u/0s
  Feb 25 18:57:11 oops named[431]: NSTATS 983095031 982820410 A=5087 NS=2 CNAME=3
                                   PTR=56903 MX=144 AAAA=1 AXFR=2 ANY=752
  Feb 25 18:57:11 oops named[431]: XSTATS 983095031 982820410 RR=7894 RNXD=2196
                                   RFwdR=4122 RDupR=4 RFail=499 RFErr=0 RErr=0
                                   RAXFR=2 RLame=1740 ROpts=0 SSysQ=945 SAns=60899
                                   SFwdQ=5026 SDupQ=3610 SErr=0 RQ=62914 RIQ=0
                                   RFwdQ=5026 RDupQ=56 RTCP=2 SFwdR=4122 SFail=75
                                   SFErr=0 SNaAns=10427 SNXD=44277 RUQ=0
                                   RURQ=0 RUXFR=2 RUUpd=0
  Feb 25 18:57:11 oops named: named shutdown succeeded

  named shutdown 을 성공한다.

  Feb 25 18:57:11 oops named[351]: starting (/etc/named.conf).  named 8.2.3-REL
                                   Wed Jan 31 01:04:28 KST 2001
                                   ^Iroot@oops.org:/../bind-8.2.3/src/bin/named

  named 를 시작한다

  Feb 25 18:57:11 oops named[351]: limit files set to fdlimit (1024)
  Feb 25 18:57:11 oops named[351]: hint zone "" (IN) loaded (serial 0)

  cache file 을 읽어 온다.

  Feb 25 18:57:11 oops named[351]: oops.zone: WARNING SOA expire value is less
                                   than 7 days (432000)

  oops.zone 이라는 zone 을 읽어 들인다. SOA filed 에 대한 경고가 있
  지만 2차 ns를 운영하지 않는한은 별로 신경을 쓸 필요가 없다.

  Feb 25 18:57:11 oops named[351]: master zone "oops.org" (IN) loaded
                                   (serial 20000302)

  oops.org 가 master zone 으로 로딩이 되었음을 알린다.

  Feb 25 18:57:11 oops named[351]: oops.rev: WARNING SOA expire value is less
                                   than 7 days (432000)
  Feb 25 18:57:11 oops named[351]: master zone "1.1.1.in-addr.arpa" (IN)
                                   loaded (serial 20000302)

  oops.rev 를 읽어들여 1.1.1.x 에 대한 network 의 inverse domain
  의 설정을 로드 했음을 알린다.

  Feb 25 18:57:11 oops named[351]: listening on [1.1.1.1].53 (eth0)
  Feb 25 18:57:11 oops named[351]: Forwarding source address is [0.0.0.0].37760
  Feb 25 18:57:11 oops named: named startup succeeded
  Feb 25 18:57:11 oops named[352]: group = 25
  Feb 25 18:57:11 oops named[352]: user = named
  Feb 25 18:57:11 oops named[352]: Ready to answer queries.

그리고 또하나는 nslookup 을 이용하는 것이다. 일단 name server 로 login 을 한후에 name server의 /etc/resolv.conf 에서 primary name server 를 자기 자신으로 잡는다. 즉 name server의 ip address 가 1.1.1.1 이라면 /etc/resolv.conf 에서 가장 상단의 nameserver 1.1.1.1 로 잡아 주라는 것이다.

resolv.conf 의 역할은 시스템이 domain 을 ip address 로 변환할 default name server 를 지정하는 것으로 보통 3차 name server 까지 설정할수 있다. 여기서는 name server 를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할 name server 를 지정하는 것이고 또한 default name server 를 자신으로 지정하라는 것은 resolv.conf 에서 가장 상단의 nameserver 지시자에 name server 의 ip address 를 잡아 주라는 것이다.

그리고 nslookup 을 실행했을때

*** ns.oops.org can't find 1.1.1.in-addr.arpa.: Non-existent host/domain

와 같은 에러 메세지를 만날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named.conf 에서 지정된 in-addr.arpa 설정 파일 즉 inverse domain 을 설정하는 파일의 설정에 문제가 있어서 그런 것이니 잘 살펴 보기 바란다.

그리고 nslookup 을 실행한 뒤에 자신이 설정한 것을 잘 찾아 보기 바란다. 만약 default server 가 자기 자신이고 자신의 domain 이나 sub domain 을 nslookup 상에서 찾았는데도 불구하고 Non-authoritative answer: 와 같은 cache 의 내용을 꺼내 온다면 그것 또한 에러가 있는 것이니 잘 살펴 보도록 한다. 보통 자신의 domain 이나 sub domain 을 찾을 때는 cache 에서 꺼내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위의 메세지가 뜨면 안된다.

위의 2가지 검사에서 아무 문제도 없다면 설정상의 문제는 아니고 외부의 문제로 돌리는수 밖에 없다. 만약 외부의 문제라면 이때에는 어떻게 할 도리가 없다. Name Server 강좌를 잘 읽어본 사람은 TTL 값 조정에 대한 글을 보았을 것이다. 즉 외부에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정하거나 옮기기전 TTL값을 충분히 고려를 해서 해야 하는데 이에 대한 이해가 없이 일단 무언가를 해 버렸 다면 TTL 값만큼 지정된 시간까지는 어떻게 할수가 없다. 빠르면 TTL 에 지정된 시간이 지나면 해결이 될것이고 재수 없으면 일주일 이상 걸릴수도 있다.



>> 이전 : Cache file 생성
>> 다음 : INTERNET Service를 위한 NAME Service의 바른이해



    



 Home > Lecture > Bind > Bind-14

Copyright 1997-2024 JoungKyun Kim 
LAST MODIFIED: 2017/01/18